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연구회 소개
    • 교육과정 연구
    • AI 활용 낚시교육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교육과정 연구

  • 2015 개정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낚시

    2021.08.02 by 에듀피싱

  • 미국 초중고학교에서 낚시 교육 사례

    2021.07.15 by 에듀피싱

  • 낚시가 환경 오염을 일으키니까 교육적으로 나쁘다?

    2021.07.13 by 에듀피싱

  • 낚시가 교육적인 이유

    2021.07.02 by 에듀피싱

  • 낚시가 학교 교육에 사용되기 어려운 이유

    2021.07.01 by 에듀피싱

  • 교육낚시 #1 우리지역에는 어떤 물고기가 살고 있을까?

    2021.06.28 by 에듀피싱

  • 낚시 프로젝트 학습으로 150여개 성취기준을 성취할 수 있습니다.

    2021.06.27 by 에듀피싱

2015 개정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낚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교에서의 낚시 교육(이하 교육낚시)의 필요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교육부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일반 PPT 파일을 사용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고 한다. 궁극적으로는 창의융합형 인재가 필요하며 이 창의융합형 인재는 인문학적 상상력, 과학기술 창조력을 갖추고 바른 인성을 겸비한. 새로운 지식을 창조 다양한 지식을 융합 새로 운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고 한다. 창의융합형 인재가 되기 위해선 핵심역량이 필요한데 자기 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이 여섯가지 핵심역량이 필요하다는 것! 교육 낚시와 핵심역량을 연결시켜보았다.

교육과정 연구 2021. 8. 2. 15:53

미국 초중고학교에서 낚시 교육 사례

더 검색을 해봐야 하겠지만 미국에서는 학교에서의 낚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NFSP(The National Fishing in Schools Program) 홈페이지를 소개한다. https://www.fishinginschools.org/ NFSP Homepage Fishing is widely accepted as a safe, wholesome, and non-controversial lifetime outdoor activity. The founders of the National Fishing in Schools Program ("Fishing in Schools") designed it so young people everywhere, whether urban or rural,..

교육과정 연구 2021. 7. 15. 09:31

낚시가 환경 오염을 일으키니까 교육적으로 나쁘다?

낚시가 환경을 오염시키는가? 절대 아니다고 할 수는 없다. 낚시꾼들이 버리는 쓰레기들, 밑밥들과 남은 미끼들은 어쨌든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환경을 오염시킨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변명도 할 수 있다. 넷플릭스 다큐 영화 SEASPIRACY를 보면 상업어업이 환경을 훨~씬 더 오염시킨다는데.. 낚시꾼들 환경오염은 훨씬 작아!!! 이렇게 그래. 백번 양보해서 몰지각한 낚시꾼들이 환경을 오염시킨다고 하자. 낚시로 환경이 오염된다면 그렇다면 더 올바른 낚시를 교육해야 하는 것 아닌가? 낚시는 인류의 오래된 수렵 수단이며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취미활동이다. 이런 낚시를 오히려 학생들에게 교육을 하여 같이 자연과 마주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지속 가능하도록 바다를 유지하기 위한 학생들에게 낚시를 가르..

교육과정 연구 2021. 7. 13. 01:28

낚시가 교육적인 이유

지난 글에서 낚시가 학교교육에 사용되기 어려운 이유를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낚시가 학생들에게 교육적인 이유를 살펴보겠다. 낚시의 과정을 살펴보면 대략 아래와 같다. (낚시의 장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잡고자 하는 대상어를 선정하고, 그 대상어의 생태와 잡는 방법을 연구한다. 대상어를 잡을 수 있는 장소를 조사하여 특정한다. 낚시 장소의 일기예보와 물때를 살펴 날짜를 정한다. 필요한 낚시 장비를 챙기고, 낚시점에서 미끼와 밑밥 등 필요한 물건을 구입한다. 낚시터로 이동, 도착 후 안전장비를 착용한다. 밑밥통, 의자, 낚시 거치대 등 낚시 장비를 세팅한다. 상황에 맞는 적절한 찌와 목줄, 바늘 크기 등을 결정하여 채비 만들고, 미끼를 바늘에 단다. 낚싯대를 이용해 미끼를 정확한 포인트에 던지고, 어..

교육과정 연구 2021. 7. 2. 10:16

낚시가 학교 교육에 사용되기 어려운 이유

교육낚시는 낚시를 수단으로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일체의 교육을 뜻한다. 낚시 행위는 인류의 가장 오래된 수렵 수단이며, 가장 인기 있는 취미 중 하나인데도 아직 한국 학교 교육에서는 교육의 수단으로 활용되거나 교육되지 못했다. 또한 낚시를 교육에 활용한다는 것에 의문을 품는 이들이 많다. 이번 글에서는 교육낚시에 의문을 품는 관점을 가지고 낚시가 학교 교육에 적합하지 않은 이유를 살펴보고, 어떻게 낚시를 교육에 접할 수 있는지 고민을 해본다. 1. 위험하다. 매년 낚시인들이 낚시하다 죽었다는 뉴스가 나온다. 대부분 바다 낚시 중 파도에 휩쓸리거나 바다에 빠지는 사고다. 해상펜션, 유료낚시터, 좌대, 방파제 등의 안전한 발판이 있는 경우는 비교적 안전하지만 그래도 완전히 안전하지는 못하다. 또한 낚시바늘을 ..

교육과정 연구 2021. 7. 1. 15:11

교육낚시 #1 우리지역에는 어떤 물고기가 살고 있을까?

개요 자신이 사는 가까운 지역의 낚시터를 찾아 직접 답사를 한다. 낚시인들이 잡은 물고기들의 조사하여 인터넷, 백과사전 등을 통해 해당 물고기의 생태와 낚시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연구한 결과로 우리 지역 물고기 낚시 도감을 만든다. 대상 초등학생~고등학생 활동 1. 우리 지역 낚시터 찾아보기 우리 지역에 있는 강, 바다, 연못, 저수지 등을 디지털 지도를 이용해 조사한다. 유튜브 검색, 인터넷 커뮤니티(인낚, 디낚 낚시 커뮤니티 등), 구글링 등을 통해 우리 지역에서 낚시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곳을 1~3곳 선정한다. 활동 2. 낚시터 가는 방법 알아보고 낚시터로 이동하기 낚시터를 가는 방법을 조사하여 글과 그림으로 정리한다. 대중교통, 어른의 도움을 받아 낚시터까지 안전하게 이동한다. 활동 3. ..

교육과정 연구 2021. 6. 28. 22:41

낚시 프로젝트 학습으로 150여개 성취기준을 성취할 수 있습니다.

우리지역 낚시터에서 낚시꾼들의 조과를 살피며 우리 지역에 어떤 물고기가 나오는지 조사하고 그 물고기의 생태는 어떠한지 파악하며 그에 맞는 포인트와 물때와 미끼를 연구한다. 그에 알맞는 낚시대, 릴, 그 외 낚시 장비를 준비해 해당 장소에 가서 낚시를 한다. 그렇게 잡은 물고기를 먹을 수 있게 올바르게 손질하고 요리하며 맛있게 먹는. 이 일련의 과정에만도 여러 교과 50여개의 성취기준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낚시를 교육하지 않습니다. 낚시로 교육합니다. 전국교사교육낚시연구회 회원모집 현재 초중고 5993개의 성취기준이 있으며 아래 학생평가지원포털에서 성취기준을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낚시 관련 성취기준은 차후 정리하여 공개하겠습니다. https://stas.moe.go.kr/ 학생평가지원포털 ..

교육과정 연구 2021. 6. 27. 12:5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edufishing.com
푸터 로고 © 전국교사교육낚시연구회 에듀피싱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